You are currently viewing 성철스님 백일법문 77일차

성철스님 백일법문 77일차

삶의 관점을 바꾸는 불교 명상 통찰: 성철스님 백일법문 77일차에서 배우는 ‘마음의 본성’

지금 우리는 매순간 끝없는 자극과 판단, 감정 속에서 살아갑니다. “괜찮다”라고 하면서도 마음이 흔들리고, 순간순간 일어나는 번뇌에 눌리곤 하죠. 그런데 만약, 이 마음의 파도 뒤에 그 근본이 되는 ‘본래의 맑고 고요한 자성’을 자각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성철스님의 백일법문 77일차에서는 바로 이 ‘마음의 본성’을 주제로, 번뇌를 이겨내는 실질적인 수행 통찰을 전합니다.

이 글에서는 바쁜 현대인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성철스님의 말씀을 쉽게 풀어, 일상에 적용 가능한 지혜로 정리해보았습니다. 특히 명상·마음 수행에 관심 있는 분들, 또는 삶의 답답함 속에서 내면의 평화를 찾고자 하는 분들에게 매우 실질적인 가치를 드릴 수 있을 것입니다.


마음은 본래 청정하다 – 왜 우리는 그걸 잊고 살아가는가

성철스님 77일차 법문에서는 마음의 핵심성과 본성을 강조하십니다. “마음은 본래 청정하니, 한 티끌의 번뇌도 없다”고 하시며, 이것이 곧 ‘자성’임을 설명하십니다. 하지만 문제는 우리 대부분이 이 자성을 경험하지 못하고 살며, 오히려 번뇌와 착각에 휘둘린다는 점입니다.

왜일까요? 바로 '허상을 실체로 착각'하기 때문입니다. 마치 영화 스크린 위 장면을 실제라고 믿는 것과 같은 착각의 구조죠.

스님은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마음이 바깥 경계를 따라가면 망상이고, 제 본성을 보면 모든 것이 분명해진다."

이 말은 매우 실용적인 통찰을 줍니다. 바깥 세상에서의 경험(칭찬, 비난, 욕망, 분노)을 따라가면 내 마음은 갈팡질팡하게 되고, 반대로 ‘지금 여기서 알아차리는 마음’으로 돌아오면 진실에 닿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질문 하나: 당신의 마음은 ‘실체’인가요, ‘현상’인가요?

스님은 ‘의식’(안식·이식·의식 등 육식 또는 칠식)이 어떻게 발생하고 움직이는지를 설명하면서, 우리가 ‘마음’이라고 부르는 것이 실체가 아닌 ‘인연 따라 생겼다 사라지는 것’임을 강조하십니다.

그렇다면 진짜 ‘나답다, 내 마음이다’라고 여기는 그것은 어디서 왔을까요? 그것은 ‘자성’이 아니라 인연으로 뭉쳐진 결과적 현상일 뿐입니다.

이 현실을 받아들일 수 있다면, 우리가 겪는 번뇌와 슬픔, 감정의 파고 중 상당수가 훨씬 가볍게 느껴집니다.

🌱 실용 팁: 짧은 번뇌의 순간에 해보세요
“지금 이 감정은 인연 따라 왔다. 곧 사라질 것이다.”
이렇게 한 문장을 마음속으로 되새기는 것만으로도 판단에서 벗어난 ‘관찰자’ 자리에 설 수 있습니다.


마음 수행의 오류: '생각'으로 참마음을 보려는 착각

불교에서는 자성(自性)을 '보려는 마음'으로는 결코 볼 수 없다고 합니다. 성철스님도 “생각으로 자성을 보겠다는 것은 마치 눈으로 귀를 보겠다는 것과 같다”고 비유하십니다.

이 대목은, 요즘 유행하는 ‘자기계발’의 명상 방식과도 차이를 드러냅니다. ‘집중’하고 ‘해결책’을 찾기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하는 명상은 오히려 내면의 고요함과는 멀어질 수 있다는 것이죠.

🔍 전문가 인사이트:
심리학에서도 뇌의 메타인지(자기 인식)는 생각을 끊는 것이 아니라, 생각을 넘어서는 ‘현재 알아차림(awareness)’일 때 더 명료하고 안정적으로 작동한다고 밝혀져 있습니다.


진짜 자성을 보는 길: ‘그대로 인식하기’

법문에서 가장 인상 깊은 구절은 이렇습니다.

“눈으로 보면 그림자요, 귀로 들으면 메아리다. 본래면목은 듣고 보고 할 수 없다.”

즉, 자성은 ‘보고 듣고 판단하는 대상’이 아니라, 바로 그 듣고 보고 판단하는 ‘주체’라는 뜻입니다. 다시 말해 ‘앎 그 자체’가 곧 자성입니다.

그렇다면 이것을 수행의 관점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 실천 포인트 3가지:

  1. 생각을 분석하려 하지 말고, 그냥 흐르게 둡니다.
  2. 감정과 판단이 일어나는 순간, “아, 지금 이 생각이 일어나고 있구나” 하고 알아차립니다.
  3. 판단 없이 그냥 있는 그대로의 경험 전체를 느껴봅니다.

이 작업은 어려워 보이지만, 반복될수록 ‘판단’보다는 ‘자각’이 강화되면서 마음의 중심이 제대로 잡히기 시작합니다.


실생활 적용: 감정에서 벗어나 중심 잡는 법

예를 들어 어떤 직장에서 상사에게 야단을 듣고 마음이 상했다면, 우리는 곧바로 반응합니다. 억울하거나 화가 나죠. 평소 같으면 ‘왜 나한테 저래?’ 하고 자책하거나 공격적인 생각을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법문에서 배운 ‘자성 보기’의 수행은 여기서 다르게 작동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이렇게 접근해보세요:

  • 지금 이 감정은 어디에서 오는가?
  • 이 마음은 잠시 지나가는 현상인가, 내 진짜 자아인가?

이렇게 가볍게 자문할 수 있다면 이미 반응이 아닌 관찰의 자리에 선 것입니다. 그 순간부터 마음은 한 걸음 물러나게 되고, 중심이 흔들리지 않게 됩니다.

🧘 실용 체크리스트: 마음 중심 잡는 3단계

✅ ① 감정이 올라오는 순간 숨을 들이마시고
✅ ② ‘느껴지는 마음’에 주목하며 판단하지 않고
✅ ③ ‘이 또한 지나가리라’는 자각으로 바라보기


결론: 우리가 이미 가진 평화로 돌아가기 위한 수행

성철스님의 77일차 백일법문은 결국 우리 모두가 이미 가지고 있는 ‘본래의 청정한 마음’을 자각하라는 깊은 안내입니다. 수행은 어디 먼 곳에 있는 신비한 힘이 아니라, 바로 지금 이 순간 ‘있는 그대로 보려는 노력’ 속에 있습니다.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도, 이미 그 길 위에 서 있습니다.

➡️ 오늘 실천해보기:

  • 하루 10분, 조용한 자리에 앉아 그냥 ‘일어나는 생각’을 바라보세요.
  • ‘판단하지 않기’를 연습해보세요.
  • 자주 감정을 따라가지 말고, ‘관찰자 자리에 있기’를 연습해보세요.

그것만으로도 여러분은 불교 수행의 핵심에 가까이 가고 있는 것입니다.


🧠 관련 정보 더 보기:

  • 성철스님 『백일법문』 전체 요약 콘텐츠 [업로드 예정]
  • 불교의 ‘육식·칠식’ 개념 쉽게 이해하기
  • 자성(自性)이란 무엇인가? 초심자를 위한 용어 해설

궁금하신 것이 있다면 댓글이나 메시지로 자유롭게 남겨주세요. 여러분의 수행 여정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석불사 #백일법문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