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 / 천일 기도

백일 / 천일 기도

김X섭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우리 가족 모두 평안하고 행복하길 기원합니다.

백일 / 천일 기도

이X달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자식들 빨리 결혼하게 해주세요.

백일 / 천일 기도

김X철

부산 수영구 장안동

공무원 시험 합격 기원합니다.

백일 / 천일 기도

박X선

서울 구로구 구로동

아버님 병환이 빨리 낳고 쾌차하게 해주세요.

백일 / 천일 기도

이X진

서울 강남구 대치동

재수하는 아들 올해는 꼭 원하는 대학에 들어가게 해주세요.

백일 / 천일 기도

이X용

서울 은평구 불광동

아버님의 극락왕생을 기원합니다.

백일 / 천일 기도

이X명

서울 관악구 청룡동

아버님이 살아계실때 남북교류나 통일이 되게해주세요.

백일 / 천일 기도

이X조

경북 의성군 안계면

우리 가족 모두 평안하고 건강하길 기원합니다.

연등 / 인등 / 기와불사

반려인등

김X아

서울 강남구 역삼동

우리 다롱이의 극락왕생을 기원합니다.

연등

박X길

대구 수성구 두산동

2025년 우리 가족 모두 평안하고 행복하길 기원합니다.

반려인등

장X수

부산 북구 만덕동

하늘 나라에서도 행복하길 바래

기와불사

박X이

서울 서초구 서초동

아들 사업이 승승장구하고 건강하길 기원합니다.

연등

진X구

서울 금천구 가산동

우리 회사사람들 모두 건강하고 하는일 잘되길 기원합니다.

반려인등

이X용

서울 양천구 목동

우리딸 올해는 원하는 대학가자!

연등

박X우

부산 진구 전포동

부모님 장사도 잘되고 무탈하시길 기원합니다.

연등

홍X진

서울 마포구 연남동

병원에서 투병하고 계신 아버님의 의 쾌차를 기원합니다.

석불사 티북

아침 향기

이른 아침 붉은 태양
석불사를 비추는데

옛 법당 간 곳 없고
새 법당 우뚝 섰네

동굴 속 옛 부처
미소 지으며 나투시고
없던 돌담 줄을 서서
제 모습을 자랑하네

천길 낭떠러지
연못 속에 백련화 피어나고
천년 바위 부처 손이
역사를 말하네

푸른 소나무 두 그루가
수문장 되어 오가는 길손들에
안녕을 지키도다

여보게 지나가는 나그네
차나 한 잔 하고 가세

지성

삶의 휴식이
필요하다면

석불사 산중다원은 사찰을 방문하는 누구나 무료로 차를 마시며 쉬어갈 수 있는 무인 찻집 입니다.

천 년의 숨결,
시간이 머무는 작은 사찰, 석불사

"천 년을 이어온 기도의 향기 속에서,
잠시 멈추어 마음의 평화를 찾아가세요."

깊은 산길을 따라 한참을 오르다 보면, 나무들 사이로 고요히 숨 쉬는 작은 사찰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천 년 전, 의상대사의 제자가 이곳에 첫 기도를 올렸던 자리로 세월의 손길 속에서도 변함 없이 그 자리를 지키며, 자연과 함께 살아 숨 쉬는 고요한 성소입니다.
작은 기와지붕 아래 굴속엔 세상의 소음이 닿지 않는 평화가 깃들어 있습니다.
바람은 나지막한 소리로 지나가고, 나뭇잎 사이로 스며드는 햇살은 오래된 기도처럼 따스합니다.
절벽에서 떨어지는 물소리는 천년의 시간이 담긴 속삭임 같고,
돌계단을 밟을 때마다 마음은 점점 가벼워집니다.

석불사는 크고 화려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 작음 속에 담긴 깊이는 한 없이 넓습니다.
의상대사의 제자가 ㅅ운 작은 기도처였던 이곳은, 세상의 고단함을 품고 온 이들에게 쉼과 위로를 전하는 안식처로 남아 있습니다. 굴속 대웅전 앞에 서면, 먼 시간을 건너온 기도 소리가 귓가에 머뭅니다. 이고셍 깃든 스님의 정성과 수행자들의 발자취는 보이지 않지만, 마음으로 느낄 수 있습니다.
기도와 깨달음이 한 겹씩 쌓여 오늘의 당신을 맞이합니다.

“ 부처님의 자비가 흐르고,
용의 기운이 머무는 법당에서 당신의 마음을 쉬게 하세요.”

깊은 산중, 작은 사찰 굴속 대웅전에 발을 들이면 고요함과 포근함 속에서 부처님의 온화한 미소가 당신을 맞이합니다. 마치 시간이 멈춘 듯, 천 년의 세월이 담긴 정성과 믿음이 당신의 마음을 어루만집니다. 대웅전에 모셔진 부처님은 소박하지만 깊은 자비의 에너지를 발산하며, 이곳을 찾는 모든 이들의 마음에 평화를 전합니다.
닳고 닳은 기도와 염원이 깃든 이 불상은 천년의 세월을 함께하며 수많은 이들의 아픔과 기쁨을 품어왔습니다 .
눈을 들어 천장을 바라보면 마치 살아 있는 듯 웅장한 무늬가 펼쳐집니다.
그 무늬는 부처님을 수호하는 용처럼 보입니다.

천장의 곡선과 선명한 조각들은 용의 날카로운 눈빛과 힘찬 기운을 닮아 있어, 이곳을 지키는 영험한 기운이 느껴집니다. 천장의 용무늬는 빛에 따라 다양한 기운을 전달해줍니다. 새벽 햇살이 스며들 때는 용이 부처님을 호위하듯 강인하고 밝게 기운을 비추고, 밤이 내려앉을 때는 마치 모든 것을 품은 채 조용히 세상을 지켜보는 듯합니다.
이 대웅전은 단순히 부처님을 모신 공간이 아니라, 그를 둘러싼 자연과 우주의 기운을 함께 느낄 수 있는 특별한 장소입니다.

자차로 이동 시

내비게이션에 "의성 석불사" 목적지로 설정 후 이동하세요.
마을을 가로질러 석불사로 들어오시면 좁은 산길을 구비구비 올라오면 만나실 수 있습니다.

■ 주소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자락길 292
■ 입장료 : 무료 (상시개방)
■ 무료시설
→ 산중다원 : 무료로 차를 즐길 수 있는 산중찻집
→ 산중산장 : 누구나 자고 갈 수 있는 산중 산장(무료 예약)
■ 주차 : 무료 주차 가능

행사 및 소식

행사 내용 날짜
정초산림기도
(음) 1월 3일 ~ 15일
부처님오신날
(음) 4월 1일 ~ 8일
백중49일기도
(음) 6월 26일 ~ 7월 15일
백일기도
(음) 10월 15일 ~ 1월 15일
성도재일
(음) 12월 1일 ~ 8일
천일기도
2월 23일(음 1.26), 6월 3일(음 5.8)
9월 11일(음 7.20), 12월 20일(음 11.1)

사찰 미디어

소설 석불사

소설 『석불사』 소개

소설『석불사』는 역사적 사실과 픽션이 어우러진 이야기입니다.
이야기의 중심은 현재 석불사의 주지이신 일호 스님의 젊은 시절 경험과, 역사적 기록을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현재 석불사의 법당굴에는 고려 시대에 조성된 석조 여래좌상이 안치되어 있으며, 오랜 세월 동안 깊은 역사와 수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는 사찰입니다.

고서에 따르면 신라 시대의 고승 의상대사는 전국을 순례하며 수많은 사찰을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가 머물렀던 의성군에도 다양한 사찰과 유적이 남아 있으며, 본 소설은 이처럼 과거와 현재를 잇는 이야기로 전개됩니다.

특히 암굴 사찰인 석불사는 독립적으로 존재하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본찰에서 수행을 위해 지원한 장소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따라 그 기원을 찾고자 하던 중, 조선 전기 지리지인 『신동국여지승람』에서 의성 비안 봉미산에 자리했던 ‘미흘사’의 흔적이 짧게 기록되어 있는 것을 주지 스님께서 발견하게 되면서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이 소설은 불교와 석불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집필되었으며, 일부 내용은 실제 역사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소설『석불사』는 역사적 사실과 픽션이 어우러진 이야기입니다.
이야기의 중심은 현재 석불사의 주지이신 일호 스님의 젊은 시절 경험과, 역사적 기록을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고서에 따르면 신라 시대의 고승 의상대사는 전국을 순례하며 수많은 사찰을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가 머물렀던 의성군에도 다양한 사찰과 유적이 남아 있으며, 본 소설은 이처럼 과거와 현재를 잇는 이야기로 전개됩니다.

특히 암굴 사찰인 석불사는 독립적으로 존재하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본찰에서 수행을 위해 지원한 장소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따라 그 기원을 찾고자 하던 중, 조선 전기 지리지인 『신동국여지승람』에서 의성 비안 봉미산에 자리했던 ‘미흘사’의 흔적이 짧게 기록되어 있는 것을 주지 스님께서 발견하게 되면서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현재 석불사의 법당굴에는 고려 시대에 조성된 석조 여래좌상이 안치되어 있으며, 오랜 세월 동안 깊은 역사와 수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는 사찰입니다.

이 소설은 불교와 석불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집필되었으며, 일부 내용은 실제 역사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불교 이야기

성철스님 백일법문 79일차

불교 수행에서 가장 중요한 한 가지는? — 성철스님 백일법문 79일차의 핵심 메시지 요즘 같은 시대에 ‘진짜 수행’이란 무엇일까요? 마음이 복잡하고, 세상이 시끄러울수록 잠깐의 명상이나 마음

Read More »

성철스님 백일법문 78일차

불교에서 ‘부모은중경’을 새롭게 읽다 — 성철스님 백일법문 제78일차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현대 사회에서는 가족의 의미가 점점 희미해지고 있습니다. 부모의 사랑은 당연하게 여기고, 때로는 그 존재에조차

Read More »

성철스님 백일법문 77일차

삶의 관점을 바꾸는 불교 명상 통찰: 성철스님 백일법문 77일차에서 배우는 ‘마음의 본성’ 지금 우리는 매순간 끝없는 자극과 판단, 감정 속에서 살아갑니다. “괜찮다”라고 하면서도 마음이 흔들리고,

Read More »

성철스님 백일법문 76일차

성철스님의 백일법문 76일차에서 배우는 ‘무아(無我)의 진실’ – 지금 나에게 꼭 필요한 1가지 관점 전환 무엇이 "나"를 고통스럽게 하는가? 우리는 살면서 "내가 옳다", "내가 상처받았다", "내가

Read More »

성철스님 백일법문 75일차

백일법문으로 배우는 불교 핵심 깨달음 – 성철 스님 75일차에서 찾은 삶의 균형 3가지 통찰 현대인에게 가장 절실한 화두는 ‘어떻게 하면 균형 잡힌 삶을 살 수

Read More »

성철스님 백일법문 74일차

백일 법문으로 배우는 수행의 길: 성철 스님이 전하는 '업과 무아'의 5가지 핵심 가르침 우리는 일상 속에서 "왜 나만 이런 고난을 겪을까?", "세상은 왜 이토록 불공평할까?"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