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currently viewing 성철스님 백일법문 72일차

성철스님 백일법문 72일차

[불교 수행 + 백일법문 인사이트] 성철 스님의 깨달음으로 가는 72번째 날, 당신에게 전하는 실천적 교훈 3가지

지금 이 순간, 많은 현대인들이 내면의 평화와 삶의 방향을 찾기 위해 불교에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텍스트로만 접하는 불교 경전이나 교리는 다소 어렵고, 현실적인 삶과는 동떨어져 보일 수 있지요. 이럴 때 도움이 되는 것이 바로 성철 스님의 『백일법문』입니다.

오늘 소개할 내용은 그 중 72일차 법문입니다. 단순한 수행 격언이 아니라, 현대인도 실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 수행법과 마음가짐을 중심으로 구성된 이 날의 법문은, 지금 여기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실용적인 답을 제시합니다.

불교를 잘 모르는 분도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구성된 이 글을 통해, 당신은 다음과 같은 가치를 얻게 될 것입니다:

  • 감정과 생각을 바라보는 내면의 힘 키우기
  • 집착에서 벗어나 삶의 주도권 되찾기
  • 단순한 이론이 아닌 구체적 실천의 길 이해

이제, 성철 스님의 100일간의 가르침 가운데 72번째 날의 핵심 주제를 바탕으로 우리가 가져야 할 통찰과 실천 방향을 함께 나눠봅니다.


1. "나는 생각이 아니다" – 진짜 나는 어디 있는가?

스님은 72일차 법문에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내 몸이 내 것이 아니고, 내 생각이 내 것이 아니다.”

이 말은 단순한 철학이 아니라, 삶의 태도 전환을 요구하는 통찰입니다. 우리는 종종 ‘내 생각’, ‘내 감정’, ‘내 몸’을 철저히 ‘나’라고 동일시하지만, 스님은 이 모든 것이 본래 ‘무아(無我)’임을 강조합니다.

  • 예: 분노가 치밀 때, 우리는 “내가 화가 났다”고 하지만, 사실은 일시적 감정인 ‘분노’가 일어난 것이죠. 내가 분노가 아니라, 분노를 인식하는 자각이 나입니다.

이 점을 알게 되면 감정에 휩쓸리지 않고, 자신의 본래 마음을 볼 수 있는 힘이 생깁니다. 마치 거울처럼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힘 — 그것이 수행의 시작입니다.

✅ 실용 팁 박스

  • 감정이 생겼을 때 “나는 지금 (감정명)을 느낀다”고 한 단계 떨어져 관찰하세요.
  • 말하거나 행동하기 전에 ‘이 감정은 내가 아니라는 것’을 의식하는 훈련을 해보세요.

2. 모든 것은 조건 따라 이루어진다 – 무상과 연기 이해하기

성철 스님은 이어서 우리가 믿고 집착하는 ‘나’라는 개념조차도 조건에 의해 생겨난 상태임을 설명하십니다. 이것은 불교 수행의 핵심 중 하나인 연기(緣起) 사상을 드러내는 말씀입니다.

“거기에 나라고 할 수 있는 본체는 없다. 다 덧없고 인연 따라 생긴 것들이다.”

💡 왜 중요할까요?

  • 우리가 마음속에서 ‘나는 이래야 해’, ‘저 사람은 왜 저래’라며 끊임없이 갈등하는 이유가 ‘영원불변의 자아’를 전제로 하기에 그렇습니다. 하지만 상대와 나, 사건과 관계, 모두 연기된 것임을 이해한다면 갈등의 실마리부터 사라집니다.

🧘 실제 적용 예시

  • 직장에서 불공정한 대우를 받았다고 느낄 때, ‘내가 무시당했다’는 자아 중심적 시각 대신, ‘이 상황은 여러 조건이 얽혀 만들어진 결과다’라고 바라보면 감정이 다르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3. 수행의 핵심은 자각적 ‘관찰’이다 – 보지 않기에 또 속는다

스님은 결국 가장 근본적인 치유는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이를 불교에서는 ‘관(觀)’이라고 부릅니다.

  • 우리는 생각이 떠오르면 ‘내 생각’이라고 믿고, 괴로운 감정이 생기면 곧바로 ‘내가 괴롭다’고 동일시합니다. 하지만 스님은 반복해서 이것이 근본적인 오해임을 지적하십니다.

📍실천 방법

  • 하루 중 틈이 날 때마다, 자신의 생각·감정·신체 감각을 관찰해보세요. “지금 나는 이런 생각이 일어나고 있구나.”
  • ‘좋다/싫다’, ‘해야 한다/말아야 한다’는 판단 없이, 그저 인식해보세요.

성철 스님은 “언제나 있는 그대로 보면 지금 즉시, 해탈이다”라고 단언합니다. 그만큼 직접 ‘보는 것’, 즉 자기 자신을 알아차리는 연습은 불교 수행의 본질입니다.


💬 Q&A 자주 묻는 질문

Q. "무아(無我)라면 나는 없다는 뜻인가요?"
A. ‘나는 없다’기보다는, 우리가 생각하는 '고정된 자아'가 없다는 뜻입니다. 상황에 따라 계속 변하는 나, 얽힌 조건으로 생겨난 나를 보자는 것이 무아의 핵심입니다.

Q. "감정을 관찰하면 고통이 사라지나요?"
A. 고통이 ‘즉시 사라지진 않아도’,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바라볼 수 있는 여유가 생깁니다. 그러면 반응 방식이 달라지고, 결과적으로 고통을 덜어낼 수 있습니다.


⏳ 요약과 정리: 지금 여기서 할 수 있는 수행

성철 스님의 『백일법문』 72일차는, 결국 우리가 착각하고 있는 “나”라는 관념을 내려놓고, 현실을 바라보는 눈(지혜)을 가지는 것이 수행의 시작임을 강조합니다.

📝 오늘의 핵심 요약

  • 생각·감정·육체 모두 ‘내 것’이 아니다 = 무아
  • 모든 현상은 ‘조건에 의해 생긴 것’ = 연기
  • 이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 = 관(觀)

📌 당장 실천할 수 있는 3가지

  1. 감정이 생기면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기
  2. 지하철, 버스 안에서 5분간 '호흡 관찰' 하기
  3. 하루에 한 문장씩 “지금, 나는 누구인가?” 자문해보기

🌿 마무리하며: 책이 아닌 삶에서 진짜를 체험하세요

성철 스님의 법문은 이론으로만 남지 않습니다. 만약 오늘 이 순간, 당신이 짜증·후회·불안 속에 있다면, 바로 그 감정 자체가 수행의 발판이 될 수 있습니다.

책으로 공부한 불교보다, 지금 이 자리에서 부딪히는 현실 속에서 수행의 실마리를 찾는 것, 그게 바로 ‘백일법문’이 우리에게 말하는 진짜 공부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73일차 법문을 통해 ‘마음 다루는 법’에 대해 더 깊이 탐구해보려 합니다. 스스로를 바꾸려 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보는 법’을 익히는 것이 먼저입니다.

지금, 있는 그대로 그대는 부처입니다. 🙏

#석불사 #백일법문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