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currently viewing 성철스님 백일법문 69일차

성철스님 백일법문 69일차

🚩 제목:
성철 스님 백일법문에서 배우는 '참나'의 깨달음 – 불자가 아니어도 알아야 할 69일차 핵심 교훈


지금 우리는 자기계발 열풍 속에서 "진짜 나", "자기 찾기"라는 말을 자주 접합니다. 하지만 진정한 ‘나’는 과연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불교에서는 이를 ‘참나’를 찾는 과정이라 표현합니다. 성철 스님의 《백일법문》 69일차에서는 이 ‘참나’ 또는 ‘진여자성’에 대한 깊은 가르침이 전개됩니다. 불교를 처음 접하는 분들도 이 주제를 이해하면 삶을 바라보는 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성철 스님의 69일차 법문을 중심으로, 우리가 일상에서 꼭 알아야 할 깨달음의 열쇠들을 정리했습니다. ‘참나’란 무엇이며, 왜 그것을 찾는 것이 중요한지, 그리고 삶의 괴로움으로부터 어떻게 벗어나게 되는지를 명확하게 안내드립니다.


🔍 "참나"를 알지 못하면 평생을 헛산다?

성철 스님은 69일차에서 우리가 ‘나’라고 여기는 것은 진짜 내가 아니라 ‘가짜 나’, 즉 ‘허망한 나’라고 질타하십니다. 우리가 늘 마음속에서 떠오르는 온갖 생각과 감정, 형상들에 의지해 ‘이것이 나다’라고 착각하며 살아간다는 것이죠. 그러나 그것은 실체가 없는 그림자와 같습니다.

참된 자기는 생각으로 만들 수 있는 개념이나 이미지가 아니라, 생각이 끊어졌을 때 드러나는 순수한 자기입니다. 이 말은 곧, 생각이 멈췄을 때 비로소 만나게 되는 존재, 즉 ‘깨달음의 주체’라는 의미죠.

성철 스님은 이를 진여(眞如), 자성(自性), 불성(佛性), 본래면목(本來面目), 주인공, 주인공용(主人公用) 등으로 표현하시며, “이것을 깨닫는 것이 최종적인 목적이며, 이 외에는 실상 아무것도 없다”고 강조하셨습니다.


💡 우리가 얻을 수 있는 핵심 혜안 5가지

  1. 참나는 생각 이전의 ‘작용하는 주체’이다

    “앉았다”, “생각했다”와 같이 표현하지만, 앉는 자, 생각하는 자, 즉 온갖 행위를 하는 진짜 주체는 무엇인가? 이 물음에 스스로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불교에서 강조하는 깨달음의 가장 핵심된 질문은 "이 몸뚱이는 어느 것이 나인가?"이며, 답은 분명합니다. ‘자기’는 몸뚱이도, 마음도 아닌 ‘지금 이것을 보고, 생각하고, 판단하는 작용 그 자체’입니다.

    📌 실용 팁: 명상 중 "이 생각을 누가 하고 있는가?"라고 자문해 보세요. 그 순간 생각을 넘어서 있는 작용만을 관찰하게 됩니다.

  2. 언어로는 설명 불가능한 ‘자기’

    성철 스님은 말합니다. “자기의 이름을 무엇이라 불러도 상관없다… 어떻게 하든 그 참자기를 자각만 하면 된다.”

    이는 깨달음이 개념이 아닌 ‘체험’임을 강조하는 부분입니다. 머리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무심(無心)한 가운데 저절로 드러나는 ‘앎’이라는 것이죠.

    예: 얼음과 물을 따져 묻는 이에게 "직접 마셔봐야 시원한지 안다"고 설명한 것과 같습니다.

  3. 왜 ‘참나’를 찾는 것이 삶의 해답인가?

    평소 “나는 누구인가?”, “왜 사는가?”, “무엇이 괴로움의 원인인가?”와 같은 근본적 질문에 명쾌한 해답을 제시하지 못합니다. 대부분의 철학은 이런 질문들을 무한 반복하다가 방황합니다.

    그러나 불교는 명확히 말합니다:
    “너 자신을 그대로 보라, 생각 이전의 작용 그 자체가 너다.”
    깨닫기만 하면 마음의 혼란, 분노, 두려움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다는 뜻입니다.

    📌 불교 TIP: 『금강경』에서는 "응무소주 이생기심"이라 하여, 어디에도 머무르지 않는 마음이 곧 불성의 작용이라 설명합니다.

  4. 생각을 내려놓아야 비로소 ‘자기’가 드러난다

    여기서 중요한 실천법이 강조됩니다. 생각을 잠시 모두 내려놓으면, 거기 남는 어떤 ‘감각’ 혹은 ‘작용’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참나입니다.

    스님은 말합니다. “생각을 손 놓고, 아무 데도 머무르지 말며, 분별 일으키지 않고 완전히 무심히 지켜보기만 해라.”

    🧘 초보 실천 팁:

    • 조용한 자리에서 5분만 숨소리에 집중해보세요.
    • 생각이 떠오르면, “이 생각은 진정한 나인가?”라고 물으며 흘려보내세요.
  5. 깨달음은 특별한 게 아니라, ‘본래부터 있었던 것’의 자각

    스님의 말 중 핵심금언:
    “깨달음은 남의 것이 아니니라. 본래부터 있었는데 몰라서 못 본 것일 뿐이다.”

    우리가 수행을 하는 이유는 새로운 걸 얻기 위함이 아니라, 잊고 지내던 본래의 나를 ‘되찾는 것’이라는 설명이죠.

    그것은 누구에게나 이미 있고, 언제나 작용하고 있으며, 다만 우리가 ‘생각’이라는 잣대로 그것을 가리고 있었던 것입니다.


📌 성철 스님의 금언 한 줄 요약

“자기를 찾지 못하면 불교 전체가 아무 소용없고, 자기를 찾으면 불교가 통째로 들어온다.”

이 한 마디로 모든 법문을 요약할 수 있습니다. 불교의 목적은 ‘자기 자신을 온전히 자각하는 데’ 있으며, 이는 지식을 쌓는 것이 아니라 ‘알던 것을 벗겨내는’ 과정임을 시사합니다.


✍️ 전문가 인사이트: 일상 속 적용법은?

성철 스님의 법문은 절집에서만 통하는 가르침이 아닙니다. 현대인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습니다.

  • 명상앱 사용 시 “이걸 누가 듣고 있지?”라고 자문해보세요.
  • 감정적 반응이 격해질 때, “지금 반응하는 나가 진짜 나일까?”라고 거리를 두는 연습을 해보세요.
  • 이 생각이 멈추면 나는 무엇이 남는가?를 잠시 사유해보세요.

이는 단지 마음의 평화 이상으로, 자신을 이해하는 깊은 깨달음의 연습입니다.


📚 요약 체크리스트

  • 참나는 생각이 아닌 '행위하는 작용'이다.
  • 언어로는 정의할 수 없는, 체험을 통해 자각하는 대상이다.
  •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해답은 참나의 자각에 있다.
  • 생각을 내려놓을수록 참나는 더욱 명확해진다.
  • 깨달음은 새로운 것이 아니며, 이미 있던 것을 보는 것 뿐이다.

✅ 실천 가이드

  1. 매일 5분, 생각 내려놓고 호흡 관찰
  2. ‘이 생각을 누가 하고 있을까?’ 질문 던지기
  3. 명상 중에 꺼내는 ‘주인공 찾기’ 연습하기
  4. “나”라는 말이 나올 때, 진짜 ‘나’를 자각해보기
  5. 자기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글쓰기나 말하기 시도

👀 다음 단계로 무엇을 읽어야 할까?

  • 『성철 스님 백일법문』의 70일차 주제는 ‘생각의 근원 끊기’입니다. 이번 69일차와 매끄럽게 연결되며, 실천법이 구체화됩니다.
  • 『금강경』, 『육조단경』 등의 경전은 ‘참나’에 대한 원전적 가르침을 담고 있으며, 성철 스님의 법문을 깊이 이해하는 데 필수입니다.

불교는 어렵다는 편견, 이제 놓아도 좋습니다.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바로 그 작용이 ‘참된 나’입니다.
지금 문득 올라오는 이 자각, 바로 그것이 시작입니다.

🙏

#석불사 #백일법문

답글 남기기